베트남, 한국의 10대 수출시장 부상
- 무역수지 흑자 47억8000만 달러, 세계 8번째, 아시아 2번째 무역흑자국 -
- 해외투자 진출, 수출복합효과로 한국제품 수출증가세 지속 전망 -
□ 2009년 한-베 교역규모, 95억2000만 달러로 동남아 최대 수출국 부상
○ 2009년 양국 간 교역규모는 전년비 2.8% 감소해 95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수출은 전년 대비 8.4% 감소한 71억5000만 달러, 수입은 전년 대비 16.3% 증가한 23억7000만 달러를 각각 기록함.
○ 2009년 양국 간 교역규모는 소폭 하락했으나 베트남은 동남아에서 싱가포르를 제외한 최대 수출시장인 동시에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으로 부상하며, 전략적 중요성이 매우 커진 상태임.
- 특히 2009년 한국 수출의 대베트남 비중이 크게 확대돼, 멕시코와 인도네시아를 제치고 한국의 10대 수출대상국으로 급부상함. 대베트남 수출은 2007년 46.7%의 증가세로 경쟁국인 태국, 필리핀, 호주, 이탈리아를 제치고 13위 수출대상국으로 부상한 이래 2008년에는 35.5%의 증가세를 기록하며 영국을 제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임.
2009년 한국의 국가별 수출현황
국가명 |
2008년 |
2009년 |
||||
금액(천 달러) |
증가율(%) |
금액(천 달러) |
증가율(%) | |||
순위 |
총계 |
422,007,328 |
13.6 |
363,533,561 |
-13.9 | |
1 |
중국 |
91,388,900 |
11.5 |
86,703,245 |
-5.1 | |
2 |
미국 |
46,376,610 |
1.3 |
37,649,854 |
-18.8 | |
3 |
일본 |
28,252,471 |
7.1 |
21,770,839 |
-22.9 | |
4 |
홍콩 |
19,771,872 |
6 |
19,661,055 |
-0.6 | |
5 |
싱가포르 |
16,292,971 |
36.3 |
13,616,994 |
-16.4 | |
6 |
마샬군도 |
4,759,256 |
108.8 |
9,672,199 |
103.2 | |
7 |
대만 |
11,461,972 |
-12 |
9,501,115 |
-17.1 | |
8 |
독일 |
10,522,711 |
-8.8 |
8,820,863 |
-16.2 | |
9 |
인도 |
8,977,063 |
36 |
8,013,290 |
-10.7 | |
10 |
베트남 |
7,804,817 |
35.5 |
7,149,477 |
-8.4 | |
11 |
멕시코 |
9,089,949 |
21.5 |
7,132,760 |
-21.5 | |
12 |
인도네시아 |
7,933,617 |
37.5 |
5,999,880 |
-24.4 |
자료원 : KOTIS
○ 지난 1992년 한-베 수교를 시작으로 본격화된 양국 간 교역은 90년대 연평균 19%대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다가, 2001년 이후 베트남이 신흥유망시장으로 부상하고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 투자진출로 인해, 교역규모가 2001년 이후 연평균 22.5%의 고성장세를 이어옴. 최근 2006년, 2007년에는 33.3%, 50.5%의 큰 폭의 성장세를 각각 기록했고 2008년에는 40%에 육박하는 성장세를 보였으나 2009년에는 국제금융위기에 따른 불황의 여파로 소폭 하락하는데 그침.
□ 무역수지 흑자, 47억8000만 달러로 세계 8번째 무역흑자국
○ 2009년 기준 교역규모는 소폭 감소했으나 베트남은 한국의 10위 수출대상국이며 28위 수입대상국, 18위 교역대상국, 8대 무역수지 흑자 대상국으로 부상했음. 또한 베트남의 입장에서 한국의 중요성도 높아져 4위의 교역대상국으로 발전(수출 7위, 수입 3위)함.
○ 베트남이 차지하는 한국 교역 내 위상 변화
- 수출 : (‘98)21위→(’01)18위→(‘03)17위→(’05)18위→(‘07)13위→(‘09)10위
- 수입 : (‘98)46위→(’01)38위→(‘03)35위→(’05)35위→(‘07)32위→(‘08)28위
- 교역 : (‘98)30위→(’01)25위→(‘03)23위→(’05)25위→(‘07)25위→(‘08)18위
○ 한국 입장에서 지난 1992년 양국 수교 이후 매년 무역수지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누적흑자 규모 또한 지난 17년간 355억 달러를 상회하는 핵심유망시장으로 부상함. 또한 무역수지 흑자는 전년 대비 17% 감소한 47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매우 큰 흑자효자국으로 중국, 홍콩, 마샬군도, 미국, 멕시코, 싱가포르, 라이베리아 다음의 8대 무역 흑자국임.
연도별 한국의 대 베트남 교역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
‘04 |
‘05 |
‘06 |
‘07 |
‘08 |
‘09 |
수출 |
3,255.6(27.1) |
3,431.7(5.4) |
3,927.5(14.5) |
5,760(46.7) |
7,804(35.5) |
7,149.5(-8.4) |
수입 |
673.3(31.8) |
694.0(3.1) |
924.8(33.3) |
1,391.6(50.5) |
2,037(46.4) |
2,369(16.3) |
무역수지 |
2,582.3 |
2,737.7 |
3,002.7 |
4,368.4 |
5,767 |
4,779.5 |
자료원 : KOTIS
□ 해외투자와 수출이 절묘하게 결합된 복합시장
○ 한국의 대 베트남 수출 확대 주요인으로는 지난 1992년 한-베 수교 이후 한국의 섬유, 봉제, 신발 등 임가공 수출기업의 1세대 투자로 관련 원부자재의 지속적인 수출 확대가 이뤄졌으며, 2000년 초 대우그룹과 같은 국내 대기업이 초기시장 선점을 통해 현지경영을 강화했기 때문임. 또한 2003년 베-미 무역협정(NTR) 발효 이후 대미 수출전진기지를 구축코자 한 한국 기업의 투자진출 러시로 관련 수출용 원부자재의 수출이 전체의 30~40%에 달하는 높은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임. 그리고 2007년 이후 현대조선, 두산중공업, 포스코, 삼성전자 등 한국 대기업의 현지 중공업 공장 신규건설 및 확충에 따른 관련부품의 수출이 더욱 크게 증가한 것도 한 요인임.
○ 2009년 말 누계 기준, 한국의 대 베트남 투자는 205억 달러로 ’05년 4위, ’06년 3위에 이어 2대 투자국으로 부상함. 2009년에는 상위 10개국 중 가장 많은 투자건수를 기록하며, 기존 섬유봉제와 신발 등 경공업 투자에서 철강, 중공업, 전기전자, 부동산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가 실행되면서 한국 제품의 수출기반이 더욱 공고해지는 추세임.
□ 주요 품목별 수출입 현황
○ 2009년 대 베트남 주요 수출품목을 보면, 자동차가 전체적인 수출 감소추세 속에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며 최대품목으로 부상했고 2위가 석유제품 7억3000만 달러(-64.1%), 편직물 5억7000만 달러(1.4%), 철강판 5억3000만 달러(27.6%), 합성수지 4억9000만 달러(10.9%), 무선통신기기 2억7000만 달러(167%), 자동차 부품 2억2000만 달러(59%)를 각각 수출함.
- 수출이 크게 증가한 제품은 베트남 정부의 내수확대를 위한 자동차 부가세 및 등록비 경감에 따른 최대 수혜로 자동차(70%)와 자동차 부품(59%)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삼성전자의 핸드폰 현지 공장 본격 가동에 따른 관련 부품 및 기기의 수입확대로 무선통신기기가 167% 확대됨. 또한 한국 가전업체의 현지 TV 조립생산 확대로 평판디스플레이 장비(565%), 평판디스플레이(351%)가 증가함.
○ 대 베트남 수출증가세를 보면 최근 경제발전에 따른 소득증가로 소비 고급화와 함께 한국산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제품의 수요가 크게 증가함. 또한 한국 투자기업의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에 따른 철강판, 금속공작기계, 건설광산기계 등의 원부자재 도입이 크게 증가한 것은 물론 섬유 관련기업의 생산확대로 편직물, 원부자재의 수요 또한 지속되는 것으로 파악됨.
2009년 한-베 주요 품목별 수출동향
(단위 : US$ 천, %)
순위 |
품목명 |
2008년 |
2009년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
총계 |
7,804,817 |
35.5 |
7,149,477 |
-8.4 |
1 |
자동차 |
494,378 |
31 |
844,420 |
70.8 |
2 |
석유제품 |
2,035,142 |
58 |
731,021 |
-64.1 |
3 |
편직물 |
563,243 |
36.7 |
571,180 |
1.4 |
4 |
철강판 |
419,426 |
99.1 |
534,965 |
27.6 |
5 |
합성수지 |
448,136 |
39.6 |
497,128 |
10.9 |
6 |
무선통신기기 |
101,209 |
-43.6 |
270,630 |
167.4 |
7 |
자동차부품 |
141,919 |
73.3 |
225,559 |
58.9 |
8 |
기타 직물 |
208,484 |
4.6 |
173,882 |
-16.6 |
9 |
인조장섬유직물 |
144,112 |
9.5 |
152,688 |
6 |
10 |
알루미늄 |
120,574 |
15 |
133,049 |
10.4 |
11 |
기타 섬유제품 |
119,573 |
34 |
126,364 |
5.7 |
12 |
농약 및 의약품 |
100,195 |
13.7 |
126,299 |
26.1 |
13 |
건설광산기계 |
64,904 |
44.7 |
117,405 |
80.9 |
14 |
기타 기계류 |
120,499 |
83.7 |
96,212 |
-20.2 |
15 |
기타 석유화학제품 |
92,345 |
45.7 |
95,444 |
3.4 |
16 |
섬유 및 화학기계 |
195,089 |
17 |
93,182 |
-52.2 |
17 |
플라스틱 제품 |
83,814 |
16.3 |
89,025 |
6.2 |
18 |
가죽 |
111,846 |
19.1 |
86,950 |
-22.3 |
19 |
종이제품 |
71,442 |
11 |
82,576 |
15.6 |
20 |
의류 |
70,049 |
27.8 |
71,250 |
1.7 |
자료원 : KOTIS
○ 2009년 기준 베트남 주요 수입품목을 보면, 원유가 최대 품목으로 4억3000만 달러(136%), 의류 2억1000만 달러(71%), 석탄 1억2000만 달러(-14%), 신발 1억1000만 달러(-9.3%), 연체동물 1억 달러(-3.8%), 천연섬유사 9000만 달러(26.5%), 기타 섬유제품 8억3000만 달러(11%)를 각각 수입함.
- 상기 품목 중 원유 등 기초광물자원, 농수산물, 섬유 의류 등 제품수입이 크게 증가했으며 상기 이 외 품목 중 급증한 수입품목을 보면 석유제품(4116%), 무선통신기기(3348%), 반도체(2145%), 조명기기(1678%) 등이 큰 폭으로 수출이 급증하며, 1000만 달러 이상의 수출실적을 보임.
○ 대 베트남 수입품목을 보면 아직까지 기초 원자재 및 농수산물 위주의 1차 산품과 단순가공 신발, 의류의 수입이 주류를 이루나, 최근에는 베트남 내 진출한 한국 가전기업이 생산한 가전통신기기의 한국 수출 확대와 조선 및 중공업 기업들의 단순조립가공기계 등의 한국 내 최종 마감을 위한 중간재의 반입이 크게 늘고 있는 것이 새로운 특징임.
최근 한-베 주요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 US$ 천, %)
순위 |
품목 |
2008년 |
2009년 |
||
수입금액 |
증가율 |
수입금액 |
증가율 | ||
|
전체 |
2,037,075 |
46.4 |
2,369,970 |
16.3 |
1 |
원유 |
183,158 |
50.7 |
433,381 |
136.6 |
2 |
의류 |
126,365 |
86.7 |
216,261 |
71.1 |
3 |
석탄 |
148,260 |
185.2 |
126,743 |
-14.5 |
4 |
신발 |
127,471 |
24.6 |
115,547 |
-9.3 |
5 |
연체동물 |
104,141 |
4.4 |
100,223 |
-3.8 |
6 |
천연섬유사 |
77,387 |
82.6 |
97,872 |
26.5 |
7 |
기타 섬유제품 |
74,598 |
63.9 |
82,940 |
11.2 |
8 |
인조섬유방적사 |
63,293 |
11.5 |
79,652 |
25.9 |
9 |
갑각류 |
70,892 |
0.7 |
74,486 |
5.1 |
10 |
수산가공품 |
60,400 |
6.4 |
72,284 |
19.7 |
11 |
무선통신기기 |
1,886 |
183.5 |
65,036 |
3,348.40 |
12 |
기호식품 |
106,995 |
59 |
64,232 |
-40 |
13 |
목재류 |
58,015 |
69.5 |
49,674 |
-14.4 |
14 |
어육 및 어란 |
63,318 |
78 |
46,001 |
-27.3 |
15 |
임산부산물 |
68,762 |
5.2 |
42,707 |
-37.9 |
16 |
기타 직물 |
21,009 |
91.3 |
38,629 |
83.9 |
17 |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
26,834 |
10,598.80 |
37,311 |
39 |
18 |
곡실류 |
36,280 |
209.7 |
34,171 |
-5.8 |
19 |
조명기기 |
1,552 |
-2.9 |
27,603 |
1,678.40 |
20 |
의자 |
29,883 |
3.2 |
26,931 |
-9.9 |
자료원 : KOTIS
□ 시사점 및 전망
○ 최근 베트남은 한국의 주요 교역대상국인 동시에 투자대상국으로, 교역 증가추세와 투자확대 규모에 비춰 향후 전략적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시장이며 신흥유망시장으로 성장하는 베트남에 대한 정부와 일반기업의 지속적인 관심과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
○ 베트남 경제는 2010년 세계 경제위기 여파로 인한 선진국의 경기둔화로 수출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그러나 자체 국민소득 증가와 소비시장 개방에 따른 소비재 수요가 증가와 각종 기계 플랜트의 현지 프로젝트 진척으로 관련 중간재의 수입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의 새로운 동남아 주력수출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임. 특히 건설기자재, 기계설비, 전기전자 등의 전통적 수출강세 품목과 함께 한국 유통기업의 현지 진출 확대로 일반 소비재 제품의 현지 소비 확대도 전망됨.
자료원 : KOTRA 하노이KBC 자체종합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