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對베트남 수출 5대 품목
-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베트남 수입의 1/4 차지 -
- 중-ASEAN FTA 발표 등으로 시장 확대 전망 -
□ 개요
○ 2009년 세계 경제 침체로 중국의 對세계 교역이 약 14%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중국 교역은 약 5.8% 증가. 이를 통해 양국 간 교역관계가 더욱 밀접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양국 간 교역은 근접국가라는 지리적 이점 외에 2010년 1월부터 발효된 중-ASEAN FTA(CAFTA)로 인해 긴밀도가 더욱 심화됨.
- 중국정부가 발표한 2010년 1월 중-ASEAN 교역 동향을 보면, 양 지역간 교역규모는 214억8000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80% 증가했음.
- 중국의 대ASEAN 수출은 105억5000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52.8% 증가했으며, 중국의 수입도 109억3000만 달러를 기록해 117.3% 증가했음.
□ 주요 내용
○ 전통적으로 베트남의 중국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아 2001년 16억 달러에 불과했던 대중 수입 규모는 매년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해 2009년에 수입규모가 164억 달러를 기록함으로써 2001년 대비 10배 증가했음.(참조)
최근 베트남의 對중국 수입추이
(단위 : US$ 백만)
자료 : 베트남 통계청
- 베트남의 대중국 수입은 경공업제품에서 중공업제품에 이르기까지 전 품목에 걸쳐 있으나 최근 베트남의 경제성장과 함께 기계류, 장비, 전자제품 등의 수입 비중이 증가함.
베트남의 대중국 주요 수입품목
(단위 : US$ 천)
품목 |
2008년 |
2009년 |
증가율 |
기계류 |
3,769,469 |
4,155,283 |
10% |
의류 |
1,544,143 |
1,565,976 |
1.4% |
컴퓨터, 전자제품 및 부품 |
654,377 |
1,463,551 |
124% |
석유 |
446,100 |
1,290,162 |
189% |
철강 및 동 제품 |
2,308,865 |
1,202,450 |
-48% |
비료 |
719,931 |
596,026 |
-17% |
섬유 |
360,546 |
407,445 |
13% |
화학제품 |
463,750 |
399,116 |
-14% |
자동차 키트 |
294,643 |
314,346 |
7% |
화학제품 |
65,513 |
309,497 |
17% |
살충제 |
200,263 |
202,129 |
1% |
자동차 |
257,338 |
152,582 |
-41% |
사료 |
98,824 |
140,894 |
43% |
플라스틱 원료 |
121,808 |
135,135 |
11% |
오토바이 부품 |
85,566 |
133,672 |
56% |
목제품 |
129,493 |
119,988 |
-7% |
광섬유 |
120,452 |
115,585 |
-4% |
의약품 재료 |
48,219 |
65,845 |
37% |
제지류 |
- |
46,500 |
- |
의약품 |
20,334 |
25,632 |
26% |
오토바이 |
36,572 |
20,315 |
-44% |
고무 |
17,734 |
16,567 |
-7% |
해산물 |
- |
12,136 |
- |
면화 |
1,777 |
2,472 |
39% |
유(乳)제품 |
2,637 |
200 |
-92% |
밀 |
71,762 |
97 |
-100% |
벽돌 |
740 |
- |
|
기타 |
3,660,733 |
3,547,352 |
-3% |
합계 |
15,701,588 |
16,440,952 |
5% |
자료 : 통계청
- 다음은 베트남의 대중국 수입 품목 중 상위 5개 품목의 현황, 특징 및 주요 브랜드를 조사했음.
○ 기계류, 장비 및 부품
- 2009년 베트남은 중국으로부터 동 제품을 41억 6,000달러 수입하여 전체 수입의 약 33%를 차지했음.
- 중국 외에 주요 수입국은 일본, 독일, 한국 및 미국 등이나 일본으로부터 동 제품 수입은 중국의 절반에 불과한 22억 달러이며, 우리나라도 8억 달러 수준임.
- 중국산 동 제품의 수요는 주로 발전소, 건설 부문 용도에 비중이 높고 농기계류 수입 수요도 높음.
- 주요 브랜드로서 발전용 장비는 CNEKE 제품의 인지도가 높고, 건설용 장비는 Lingong, Dongfeng, Shantui-Komatsu 제품의 선호도가 높음. 농기계류는 Guilian, Foton 및 Liulin 제품 수입이 꾸준히 증가했음.
○ 의류
- 2009년 통계에 의하면 베트남의 대중국 의류 수입은 약 15억7000만 달러로 전체 의류 수입의 약 37%를 차지함.
- 그러나 이는 공식 통계자료이며, 실제 베트남에서 유통되는 중국산 의류는 국경지대의 밀수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중산층은 약 40%, 저소득층은 약 70%가 밀수 의류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남.
- 밀수업자들은 중국과의 의류 밀수를 통해 최고 60%의 수익을 기록하며, 주로 해외 유명브랜드의 가짜 상표 제품의 인기가 높음.
○ 컴퓨터, 전자제품 및 부품
- 최근 다국적기업의 대베트남 투자패턴이 전자제품, 컴퓨터 조립 부문에 집중되면서 이 제품 수입이 증가함.
- 2009년 중국은 베트남에 이 제품을 14억6000만 달러 수출해 이 시장의 약 37%를 차지했음.
- 주요 브랜드로는 Westmag Technology, Yueqing Sungway Electric, Yuxin 등이 수입비중이 높으며, 베트남 현지 기업인 CMS, FPT, VTC 및 VTB사가 중국산 제품 수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석유
- 베트남에서 이 제품의 수입은 싱가포르로부터의 비중이 가장 높은데, 2009년 베트남은 싱가포르로부터 약 23억 달러를 수입했고, 다음으로 중국으로부터 약 13억 달러 수입해 이 제품 시장의 약 20.6%를 차지했음.
- 특히 베트남은 중국과 원유를 수출하고 가공된 정유를 수입하는 무역 보완관계가 구축됨.
- 중국의 China Petroleum and Chemical Corporation(SINOPEC)가 주요 교역대상 기업으로, 특히 이 회사는 베트남 유전개발 기업에도 일정 지분을 보유하는 것으로 전해짐.
○ 철강 및 동 제품
- 대부분의 상품이 중국의 지배력이 높은데 반해, 동 제품은 베트남 시장에서 경쟁이 가장 치열한 품목이라 할 수 있음.
-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2009년 약 12억 달러를 수입했고 다음으로 일본과 한국으로부터 각각 11억 달러, 8억3400만 달러 수입했음. 이외에도 대만과 러시아로부터 8억 달러 이상 수입했음.
- 중국으로부터 베트남 철강 수입의 한가지 특징은 베트남 철강 브랜드를 위한 아웃소싱 형태가 대부분인데, 예를 들어 Viet-Y 사는 중국으로부터 철강을 수입해 VIS 브랜드로 판매함.
- 선호도가 높은 중국산 철강 브랜드는 Baostell, DKC CHina, Baenyung Metal-China, Jumbo China Steel 등임.
□ 대중국 수출
○ 한편, 베트남의 대중국 수출은 2001년 14억 달러를 수출한 이후 완만한 증가세를 기록해 2009년 49억 달러를 기록함.
- 대중국 주요 수출품목은 석탄, 고무, 원유, 컴퓨터 부품, 목제품, 캐슈넛, 해산물, 신발 등 부가가치가 낮은 상품이 주도하고 있어 베트남의 대중 무역수지 악화의 근본 원인으로 작용함.(참조)
베트남의 대중국 주요 수출 품목
(단위 : US$ 천)
품 목 |
2008년 |
2009년 |
석 탄 |
742,844 |
935,843 |
고 무 |
1,056,988 |
856,713 |
원 유 |
603,530 |
462,623 |
캐슈넛 |
145,633 |
197,904 |
해산물 |
81,096 |
124,857 |
자료 : 통계청
□ 전망
○ 이처럼 무역구조를 통해 중국의 베트남 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가늠할 수 있음.
- 특히 베트남은 중국과의 국경이 약 1000㎞이고 대부분 산악 지형이어서 국경지방에서 밀수품 유입을 고려한다면, 중국의 베트남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은 절대적이라 할 수 있음.
- 2008년 베트남의 일인당 소득이 약 1000달러를 상회했으나 중국산 제품은 베트남 중산층과 저소득층이 선호해 당분간 수입수요가 지속될 것임.
- 특히, 올해 1월부터 발효된 중-ASEAN FTA를 통해 베트남으로 중국산 수입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국경 간 밀수품은 감소할 것이나 시장점유율은 더욱 확대될 것임.
- 베트남에서 한국산 제품은 고가 및 고급제품으로 인식돼 있으므로, 한국은 중국산과 경쟁을 지양하고 고급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장기적으로 신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기본 전략이라 판단됨.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중국 정부 및 코트라 하노이KBC 자체종합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