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도로건설 프로젝트 잇달아
- 베트남 정부, 정부예산 및 ODA 활용 운송 인프라 획기적 개선 노력 -
- 한국 건설사의 활발한 참여로 각종 도로공사 기자재의 베트남 수입 확대전망 -
하노이 KBC 박동욱 차장
kotraone@gmail.com
□ 베트남 도로인프라 현황
○ 베트남 도로인프라는 매우 열악한 상황으로 그동안 정부의 예산부족으로 신규건설이 제한적이었음. 2007년 기준 베트남은 160,089km의 도로 중 41% 만이 아스팔트 도로이며 국제기준의 고속도로는 전무한 상황으로 도로운송 인프라가 매우 열악함.
○ 베트남은 GDP성장률 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수송량에 비해 현 도로망은 수송요구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매년 25%가 넘는 차량증가 추세와 운송물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도로증가율은 연 13%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됨. 베트남의 향후 2020년까지 차량증가 및 운송물량은 크게 증가하여 지난 95년 이후 150% 증가한 것에 비해 2배이상이 증가하여 2020년까지 300% 증가가 전망되고 있어 기존 도로인프라 신규 건설 및 개선에 정부의 집중적인 투자가 예정될 것으로 전망됨.
유형별 베트남 도로 통계 (2007년)
도로유형 |
전체 |
분류 |
|||
중앙 관리 |
주/도시 관리 |
구 관리 | |||
도로(km) |
160,089(100%) |
13,554 |
31,575 |
114,960 | |
-아스팔트 도로 |
66,010(41%) |
12,768 |
22,086 |
31,156 | |
-자갈포장 도로 |
10,231(6%) |
275 |
865 |
9,091 | |
-자갈 &흙 도로 |
36,150(23%) |
392 |
5,034 |
30,724 | |
-흙 도로 |
47,698(30%) |
119 |
3,590 |
43,989 |
자료원: 베트남 통계청(GSO)
□ 도로 건설 상황
○ 현재 베트남 정부는 신규 도로건설 및 도로네트워크 개선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정부예산의 확보를 위한 전방위 노력을 하고 있으나 예산부족으로 해외차관을 활용한 도로 프로젝트 건설에 나서고 있음. 특히 1992~2008년 사이의 전체 해외ODA $270억달러에서 20.5%를 운송 및 통신분야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최근 급증하는 전세계의 ODA로 베트남 도로건설이 빠르게 추진이 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하노이-하오퐁을 잇는 15번 도로, 하노이-타이응엔을 잇는 3번 도로, 하노이-꽝닝을 잇는 18번 도로, 꽝닌-닌빈을 잇는 10번 도로 등이 건설되면서 느린 속도이긴 하지만 북부지역 운송인프라가 개선되고 운송시간 단축으로 지방의 경제발전에 기여함.
□ 베트남 도로건설계획 2020년
○ 베트남 정부는 도로건설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2008년 12월, 2020년까지 베트남 도로인프라 개발계획 시행령(No.1734/QD-TTg)을 발표함.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남북 고속 도로 체계를 포함하여 주요도시 연결을 위한 도로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총 22개 노선, 총 길이 5,873km에 달하는 도로 네트워크 완공을 목표로 함.
①.남북 고속도로 체계 :2개 노선. 총 길이 3,262km.
- 노선1:동북 지역의 남북 고속도로:1,941km.
- 노선2:서부 지역의 남북 고속도로:1,321km.
②.북부지역 고속도로 체계: 7개 노선. 하노이와 연결. 총 길이 1,099km.
- 롱선-박장-박닌:130km.
- 하노이-하이퐁:105km.
- 하노이-비엣지-라오까이:264km.
- 노이바이-하롱-몽까이:294km.
- 하노이-타이응웬-쩌머이:90km.
- 랑-화락-화빈:56km.
- 닌빈-하이퐁-꽝닌:160km.
③ 중부지역 및 떠이응웬 :3개 노선. 총 길이 264km.
- 홍린(하띤 성)-흐엉 선(하띤 성):34km.
- 깜로(꽝찌 성)-라오까이(꽝찌 성):70km.
- 뀌년(빈딘 성)-플래이 꾸(자라이 성):160km.
④ 북부지역 고속도로:7개 노선. 총 길이 984km.
- 비엔화(동나이 성)-붕따우(바지아-붕따우 성):76km.
- 자우 자이(동나이 성)-다랏(람동 성):209km.
- 호치민시-투 저우 못(빈즈엉 성)-쫀 타인(빈즈엉 성):69km.
- 호치민시-목 바이(떠이닌 성):55km.
- 쩌우 독(안장 성)-깐토-쏙짱:200km.
- 하 띠엔-쟈익 자(끼엔장)-박 리에우:225km.
- 깐토-까 마우:150km.
⑤ 호치민 및 하노이내 순환 고속도로
- 하노이 (No.3:56km, No.4:125km), 호치민 (No.3:83km)
개발 프로젝트 리스트(정부 도로계발 계획 2020)
No |
노선 |
도로폭(m) |
차선 |
투자 액(십억동) |
완공목표 |
|
동부지역 남북 고속도로 |
|
|
|
|
1 |
꺼우져이-닌빈 |
50 |
6 |
9,300 |
N/A |
2 |
닌빈-타잉화 |
75 |
6 |
12,380 |
2020년 |
3 |
타잉화-빈 |
140 |
6 |
22,120 |
2020년 |
4 |
빈-하띵 |
20 |
4-6 |
2,580 |
2020년 |
5 |
하띵-꽝찌 |
277 |
4 |
21,610 |
N/A |
6 |
꽝찌-다낭 |
178 |
4 |
18,160 |
2020년 |
7 |
다낭-꽝응아이 |
131 |
4 |
17,820 |
2020년 |
8 |
꽝응아이-뀌년 |
150 |
4 |
23,700 |
2020년 |
9 |
뀌년-냐짱 |
240 |
4 |
24,960 |
N/A |
10 |
냐짱-자우자이 |
378 |
4-6 |
55,940 |
N/A |
11 |
호치민-롱타잉-자우자이 |
55 |
6-8 |
18,880 |
2020년 |
12 |
롱타잉-년짜익-벤룩 |
45 |
6-8 |
12,340 |
2020년 |
13 |
호치민-쭝르엉 |
40 |
8 |
13,200 |
논의중 |
14 |
쭝르엉-미투언-깐토 |
92 |
6 |
26,250 |
2020년 |
|
서부지역 남북 고속도로 |
|
|
|
|
15 |
도안훙-화락-포쩌우 |
457 |
4-6 |
53,930 |
N/A |
16 |
응옥호이-?타잉-자익자 |
864 |
4-6 |
96,770 |
N/A |
|
북부지역 |
|
|
|
|
17 |
랑선-박장-박닌 |
130 |
4-6 |
12,220 |
2020년 |
18 |
하노이-하이퐁 |
105 |
4-6 |
16,800 |
2020년 |
19 |
하노이-라오까이 |
264 |
4-6 |
15,580 |
논의중 |
20 |
하노이-타이응웬 |
62 |
4-6 |
2,940 |
2020년 |
21 |
타이응웬-쩌머이 |
28 |
4-6 |
2,940 |
N/A |
22 |
랑-화락 |
30 |
6 |
7,650 |
논의중 |
23 |
화락-화빈 |
26 |
4-6 |
2,550 |
N/A |
24 |
박닌-하롱 |
136 |
6 |
19,040 |
2020년 |
25 |
하롱-몽까이 |
128 |
4-6 |
13,820 |
2020년 |
26 |
닌빈-하이퐁-꽝닌 |
160 |
4 |
13,760 |
N/A |
|
중부지역 |
|
|
|
|
27 |
홍린-흐엉썬 |
34 |
4 |
2,450 |
N/A |
28 |
깜로-라오바오 |
70 |
4 |
4,900 |
|
29 |
뀌년- 플래이꾸 |
160 |
4 |
12,000 |
|
|
남부지역 |
|
|
|
|
30 |
자우자이-다랏 |
189 |
4 |
19,280 |
2020년 |
31 |
비엔화-붕따우 |
76 |
6 |
12,160 |
2020년 |
32 |
호치민-투저우못-?타잉 |
69 |
6-8 |
20,010 |
|
33 |
호치민-목바이 |
55 |
4-6 |
7,480 |
|
34 |
하띠엔-자익자-박리에우 |
225 |
4 |
27,230 |
|
35 |
깐토-까머우 |
150 |
4 |
24,750 |
|
|
하노이 순환도로 |
|
|
|
|
36 |
3번 순환도로 |
56 |
4-6 |
17,990 |
2020년 이전 |
37 |
4번 순환도로 |
125 |
6-8 |
34,500 |
|
|
호치민 순환도로 |
|
|
|
|
38 |
3번 순환도로 |
83 |
6-8 |
20,750 |
2020년 이전 |
□ 향후 전망 및 시사점
○ 베트남 건설시장은 중장기적으로 매우 유망한 시장으로 전세계 건설기업은 물론 한국의 많은 건설기업이 진출하여 치열한 경합을 벌이는 지역임. 특히 베트남 도로건설에는 2020년까지 정부의 계획에 따라 총 40억 달러 이상의 프로젝트가 발주되는 상황으로 전세계 건설사 및 한국기업의 치열한 경쟁이 전망됨.
○ 최근에는 한국 정부의 베트남에 대한 ODA, EDCF 자금지원 확대와 맞물려 다양한 현지 수주활동이 전개가 전망되는 반면에 한국 건설기업간 입찰가격 덤핑과 과열경쟁에 따른 부작용도 제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
○ 베트남 정부는 교통 등의 열악한 인프라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인프라의 개발 및 개선을 위하여 각종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재원 조달의 어려움으로 인해 원활한 프로젝트 진행이 어려운 상황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안정성이 우리기업들의 프로젝트 성공 여부의 관건임. 또한 ADB지원 프로젝트 이외에 전세계 차관사업 지원 프로젝트가 많은 상황으로 각 지원기관의 프로젝트에 대한 밀착 모니터링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베트남 통계청, VEC 및 하노이 KBC 자체종합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