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수입 과일인 키위, 사과, 석류, 배 등 수입 과일 가격이 최근 1kg당 수만 동으로 2년 전의 5분의 1 수준으로 하락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호치민시 빈탄(Binh Thanh)구에서 수입 과일 판매업을 하는 Hinh씨에 따르면 현재 뉴질랜드산 키위 한 상자(약 3.5㎏)가 20만 동에 판매되고 있으며, 1kg당으로 환산하면 약 5만7000동이다. 10상자 이상 구매하면 한 상자당 16만 동까지 가격이 내려간다. "이 가격은 작년 이맘때 보다 15%나 저렴하다"고 말한다.
Hinh씨에 따르면 수입 석류와 배 가격도 나날이 떨어지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 수입한 석류는 1kg당 6만~7만 동, 지역에 따라 4만 동에 판매되고 있다. 튀니지산 석류는 처음에는 고급 수입 과일로 취급되어 2021년 판매 가격이 1kg당 25만 동이었으나 현재는 3만5000~5만 동으로 2년 전의 5분의 1 이하로 떨어졌다.
마찬가지로 한국산 배도 1종은 1kg당 6만~8만 동, 2종은 3만~4만 동으로 역대 최저가로 판매되고 있다.
뉴질랜드산 사과 가격도 계속 하락해 현재 1kg당 4만~6만 동에 판매되고 있다. 특히 베트남 시장에서 가장 비싼 사과 품종(일본산 사과 제외)인 Envy 사과는 2~3년 전 1kg당 20만~35만 동에서 현재는 절반 이하인 7만~11만 동에 판매되고 있다.
투덕(Thu Duc) 도매시장에서 과일 수입업체를 운영하는 Thanh 씨는 베트남에서 수입 과일 가격이 하락하는 이유에 대해 공급이 확대되는 반면 국내 구매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지난 1년 동안 인도, 뉴질랜드가 베트남에 과일 수출을 확대하면서 가격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도 한 원인으로 꼽았다. 또한 중국과 베트남의 무역에 관한 양국의 유익한 합의에 따라 중국산 과일을 이전보다 쉽게 수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도 한몫했다.
베트남 청과물 협회의 Dan Hooc Nguyen 사무총장도 비슷한 의견을 제시하며, 베트남이 다양한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면서 청과물 수입 관세가 거의 0%에 가까워졌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수입 과일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베트남은 미국, 일본, 한국, 뉴질랜드 등 국가와 EVFTA, RCEP, CPTPP, ACFTA 등의 무역협정을 체결해 수입 과일과 채소에 대해 상당한 특혜관세를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관총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0월말까지 베트남은 16억 USD 이상의 과일을 수입했다. 특히 올해는 인도, 뉴질랜드, 한국 등 과일이 저렴한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전년 동기 대비 4~62% 증가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